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기 저장장치 ESS, 전기 절약. ESS무료설치(대형공장).

by 전기에너지 2023. 6. 20.

 

이번 장에서는 전기의 에너지 저장장치 (ESS. Energy Stoage System)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의 역할은 어떤것 이며?  어떻게 하면 전기를 절약할 수 있을까?.라는 내용으로  ESS의

활용방안과 설치 후에는  어떤 절감 효과가  있을까?  하는 내용을 중점적으로 기술해 보고자  한다.

 

 

 

1. 전기 저장 장치란? 

이번 장에서는 

공급된 전기,  공급한  전기,  어떻게 활용하는 게 가장 경제적인가?

전기의 저장장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글 중  "우리나라 발전원별 전기생산량 및 산업별 전기 소비량"에서 알았듯이 

한번 생산된 전기는 사용처가 없으면  그 전기는 사라진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또한  "우리나라 발전원별 전기생산량 및 산업별 전기 소비량"에서 산업용 전기가 

약 50% 이상을 차지하는 것도 알아봤습니다.

 

그럼 이러한 전기를 절약하기 위하여는 산업계가 앞장서야 하는데 

어떻게 해야 전기를 절약할 수 있을 까요?

실제 " 여수 석유 화학단지"  "충남  대산의 석유 화학단지"   "인천의 동국 제강"  등 수도권의 

대규모 공장에서 사용하는전기는 정말 어마어마하다 할 수 있습니다.

( 월 10억 이상인 공장으로 년 사용요금이 100억 이상이기도 합니다)

앞서 논의한 "우리나라 발전원별 전기생산량 및 산업별 전기 소비량"에서 가정용은  우리나라 전기소비량의

약 15 % 정도를 소비하고 있는 실정 이므로  상업용 빌딩이나 산업용 공장에서 절약을 해줘야 합니다.

 

절약 방법 있습니다. 

산업계에서 최고경영자가 몰라서 그러는지,?  안 하는지는 몰라도?...

그게 바로 ESS 전기 저장 장치입니다.

 

전기 저장장치 ESS 



위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1개의 컨테이너에 1 MW의 전기를 저장할 수 있는 충전소의 배터리 라 생각하면 됩니다.

 태양광 시설은 낮에만 전기를 생산하고 해가 지는 밤에는 전기가 생산되지 않습니다.

 태양광시설에서 낮 10시부터 4시까지 생산한 전기를 ESS에 저장하고 전기를 많이 쓰는

피크시간대 전기를 공급하면 낮 생산량의 500% 의 금액을 지불하던 때도 있었으나 , 

화재 등 여러 요건으로 위험 요인이 많아 2023년 현재에는 그 제도가 없어졌습니다.

 

이렇게 유용하게 운영되던 ESS를 산업계 공장에  접목시켜  새벽 2시부터 5시  사이에는 

전기가 남아도는시간대 즉, 생산된 전기를 안 쓰면 버려지는 것인데  가장 전기를 적게 쓰는

새벽 2시부터 5 씨 경까지 저장장치인 ESS에 저장하고  낮의 피크 시간대에  자체적으로

공장에서 저장된 전기를  사용하면 전기 요금이 절감되는 것으로 실제 2018년도에 한전에서

강력히 실시한 바 있으나 현재까지 운영되는지는 확인을 안 해 봤습니다.

 

전기요금은 개략 1KW 당 120원 정도 계산 하면 됩니다.

심야전기를 25원에 계산해 줄 테니  전기 저장장치 ESS를 설치하고 

충전된 전기를 낮시간대(100원 정도)에 활용하면 약 70~80 %의  전기 요금을 절감하면서

ESS의 설치비를 충당하게 하는 제도였습니다.   

 

즉, 이는 ESS의 설치 금액을 투자회사가 먼저 투자하여 실시하고 

절약된  금액만큼으로 이자를 포함하여 상환하는 ESCO 사업으로 시행하였으나

이 제도의 활용여부 및 현시점에서 적용 여부는 한전에 알아보고 실시해 봐야 할 것입니다.

 

2. 우리나라 시간대별 전기 소비 곡선

우리나라 시간대별 전기 소비 곡선 

위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리나라 시간대별 전기 소비곡선 (새벽 1시부터  24시까지"을 살펴보면 

심야시간에  전기를 ESS에 충전하고 (당시 한전에서는 심야시간대 산업 공장에 25원을 책정한다 하였음) 

낮 시간대 (약 100원대)  충전된 전기를 사용하면 약 70원 이상의 전기 요금이 절약되는바,

요금 절약 부분을  ESS를 생산하는 업체와 자금을 운영하는 업체가 하나가 되어 

SPC 법인을 설립하고 그 법인에서 ESS를 초기 무료로 설치해 주고 운영하면 약 5~7년이면 ESS

설치원가 가 빠지고,   그 후 장기간 계약 운영하는 제도였습니다  (약 15~20년간) 

 

이의 확산을 위해 2018년 당시 "인천 동국제강, " " GS칼텍스", "현대제철, "  "오일뱅크" ,

" 충남대산 LG,롯데  석유 화학 단지"등에

상기와 같은 제안서를 제출하여 활발한 영업활동을 했으나 워낙 덩어리가 크고 , 수익은

물론 이권 및 특혜시비등으로 인해 결재 라인을 못 넘기고  실천해보지 못한 경험이 있어 적어 봅니다.

이렇게 전기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것만 알고, 

그 사실로 만족해야 했던 시절이기도 했습니다.

 

좀 아쉬운 감이 있지만, 이러한 제도는 앞으로도 지속되어야 할 것이고  산업계에서도  적극

활용하여야 할 것입니다.

혹 본 내용을 보시고  정부의 담당자나 관련되시는 분의 적극적인 참여도 함께 호소하는 바입니다.

이를 실천할 수 있게 해 주시면 우리나라 전력 생산과 유휴 전력 사용등에 

많은 도움이  되오니 전기 절약에 적극적인 실천을 요청 드리는 바 입니다.

 

이번장에는 전기 저장장치 ESS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이를  활용해 전기의 사용량도 줄이고

전기도 절약하는 방식임을 알았으며  특히,  석유 화학 산업단지, 등 전력요금이 많이 사용한 

산업체에서는 본 제안이 숙지되신다면 반드시 실천해 주십사  하고 전언드리는 바입니다

위 내용에서 보았듯이 결국애는 회사의 이익에도 부합되는 아주 좋은 방식임을 첨언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3년 7월  해동검/최성락 쓰다.